열연 제품은 열연코일과 열연 강판으로 구성됩니다. 연속 주조기에서 생산된 슬래브(Slab)를 고객사가 요구하는 치수로 압연하고 냉각과 권취 과정을 거쳐 제조됩니다. 포스코는 포항과 광양에 6개의 열연공장과 1개의 하이밀공장을 갖추고 연간 980만 톤의 열연 완제품을 생산하며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열연 제품은 기계와 건축 구조용, 자동차 구조용, 일반/API 강관용, 냉간 압연용 등 산업 전반에서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종류 및 용도
냉간압연용 강
냉간압연의 소재로 사용되는 제품으로서, 열연제품 중에 가장 강도가 낮은 편이며, 일반 가공용에서 심가공용까지 생산되고 있습니다. CR, GI, EG, Color 강판 등 다양한 냉연 제품의 소재로 사용됩니다.
steelIndustry
종류 및 용도
고강도강
0.2% 정도의 탄소를 함유한 탄소강에 규소 · 망간 · 니켈 · 크롬 · 구리 등을 첨가하여 성능을 향상시킨 강입니다. 고강도강은 금속학적으로 소부경화강, 고용강화강, 석출경화강으로 분류되며, BH(Bake-Hardenable) steel, HSLA(High Strength Low Alloy), R(Rephosphorized) steel, IF(Interstitial Free) HSS, ATOS(AuTOmobile Structural) steel 등이 있습니다.
steelIndustry
종류 및 용도
고탄소 강
C 0.3%이상이거나, C 0.15%이상이면서 합금원소를 첨가한 강재를 뜻합니다. 고객사 최종 열처리를 통한 고강도 및 고경도 물성치 확보가 가능하며, 자동차 부품용, 산업기계용 등에 사용됩니다.
steelIndustry
종류 및 용도
구조용 강
일반 구조용, 용접 구조용 및 건축 구조용이 생산되며 철구조물, 교량, 선박, 차량 제작 등 다양한 용도에 사용됩니다.
steelIndustry
종류 및 용도
강관용 강
구조용 강관, 배관용 강관, 인발용 강관으로 나눌수 있으며, 용접성과 성형 가공성이 우수합니다. 건축구조물, 강관파일, Gas 배관, 자동차구조용 등에 사용됩니다.
steelIndustry
후판 제품은 비교적 두꺼운 열간 압연 강판입니다. 일반적으로 두께 4.5mm 이상이 후판으로 분류되며 100mm 이상은 극후물재라고 합니다.

후판 제품은 연속 주조기에서 생산된 슬래브(Slab)를 고객사가 요구하는 치수로 압연 및 냉각한 후 최종 제품 크기로 절단하여 만들어집니다.

포스코는 고품질 후판재 생산을 위해 전 공정에 컴퓨터 자동제어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이를 통해 완벽한 정밀도는 물론 용도별 요구 품질을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후판 제품은 주로 용접 구조물의 부재로 쓰이며, 용도에 따라 선박 제조용, 건축 및 중장비 구조용, 해양 및 풍력 구조용, 압력용기(저장탱크), 라인파이프(송유관) 등으로 나뉩니다. 주로 화학 성분, 재질, 치수, 형상, 표면, 내부 품질 등이 요구되며 사용 용도에 따라 용접성, 가공성, 내열성, 내식성 등이 추가 요구될 수 있습니다.
종류 및 용도
조선용 강
조선용 강재는 선박 제조에 사용되는 소재를 가리키며, 후판 제품이 가장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용도에 해당됩니다. 기본적인 강도부터 치수, 표면, 형상은 물론이고 사용처에 따라 보증 온도로 Grade(A~F) 가 구분되는 충격 인성까지 다양한 특성이 요구됩니다. 각국 선급 협회의 제조 인허를 획득한 선급 일반강, 그리고 고장력강 및 대입열 고효율 용접 시공이 가능한 TMCP형 고장력강 등이 모두 선박 제작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steelIndustry
종류 및 용도
구조용 강
구조용 압연 강재는 주로 육상에 건설되는 건축물, 용접 구조물, 교량, 산업기계 등에 사용되는 강재입니다. 사용 범위가 매우 넓은 만큼 규격 또한 폭넓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제품 사용 시 반드시 용접이 수반되기 때문에 뛰어난 용접성이 필요하며 사용처와 규격에 맞는 강도 특성이 요구됩니다. 제품 생산에는 주로 일반 압연 및 TMCP 공정이 적용되나, 60kg급 이상 고장력강의 경우는 열처리를 통하여 생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steelIndustry
선재 제품은 코일 형태로 감겨져 있으며 둥근 단면의 지름은 5.5~42mm입니다.
연속주조기에서 생산된 연주빌렛(Billet) 및 연주블룸(Bloom)을 압연한 강편빌렛(Billet)을 고객사가 요구하는 수치로 압연 후 냉각, 권취, 검사과정을 거쳐 제조됩니다.

포스코는 선재 제품 생산에 최신예 설비와 기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 공정을 컴퓨터로 제어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해 다양한 규격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선재는 자동차의 핵심 부품, 건설 및 교량 건축 자재뿐 아니라 산업 전반의 가장 기초적인 소재까지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종류 및 용도
타이어코드용 선재
0.70~0.92% 고탄소강에 강도 향상을 위한 성분(Cr, Si, Mn 등)을 첨가한 강종입니다. 세선(직경 0.15~0.38mmø)으로 신선 가공 후 다양한 코드 형태로 꼬아서 자동차 타이어코드(외부 압력 및 충격으로부터 타이어 수명을 연장시키는 보강재)에 사용됩니다.

타이어코드용 선재는 세선 가공을 위한 청정성, 경량화와 연비 향상을 위한 고강도가 필요한 선재입니다. 최근 고객사에서는 환경문제로 인해 산세 대신 기계적 스케일 처리(Mechanical descaling) 및 열처리 생략이 가능한 제품을 요구하는 추세입니다.
steelIndustry
종류 및 용도
CHQ용 선재
CHQ(Cold Heading Qualityㆍ냉간압조용) 선재는 열간·냉간 상태에서 단조 및 압조 가공으로 볼트, 너트, 나사 등 각종 기계부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됩니다. 균일한 화학성분과 양호한 내부 품질이 요구되며, 자동차 체결용, 건설용 볼트, 기계장치의 단조 부품 등에 사용됩니다.
steelIndustry
냉연제품은 열연을 소재로 산세, 냉간 압연, 열처리를 통해 제조되며, 두께 0.2~2.0mm의 비교적 얇은 강판입니다.
표면이 미려하고 가공성이 우수한 고급 철강재로 현대사회의 필수 소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최근 고기능 냉연제품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포스코는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에 총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포스코는 포항에 2곳, 광양에 4곳의 냉연공장을 가동 중입니다. 냉연제품은 자동차, 세탁기, 냉장고 등의 가정용품부터 산업기기와 각종 건축 용재까지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나아가 스틸캔, 스틸하우스 등 새로운 수요가 지속적으로 창출됨으로써 고부가가치 제품의 개발 및 생산 분야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종류 및 용도
고강도강
심가공성과 고강도가 부여된 강으로, 금속학적으로 소부경화강, 고용강화강, 석출경화강으로 분류됩니다. BH(Bake-Hardenable) steel, HSLA(High Strength Low Alloy), R(Rephosphorized) steel, IF(Interstitial Free) HSS, ATOS(AuTOmobile Structural) steel, HB(Hyper Burring) steel 등이 있습니다.
steelIndustry
종류 및 용도
석도금용 강
Black Plate(BP)는 일반적으로 주석(Tin) 및 크롬도금용으로 사용되는 원판소재를 의미합니다. 고객사에서는 당사의 Black Plate(BP)를 사용해 도금후 식품 및 분유캔, 산업용관, 2-Piece캔, 참치캔, EOE(Easy Open End), 부탄가스캔 등 다양한 용기 제품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steelIndustry
용융아연도금 제품은 압연된 코일의 표면을 세척 및 열처리한 후 용융 상태의 아연도금 욕조를 통과시켜 만들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표면에 순수 아연(GI) 또는 아연-철(GA), 아연-알루미늄-마그네슘(PosMAC) 합금으로 도금이 됩니다.

포스코는 고객사에서 요구하는 도금 종류, 양, 윤할 처리, 후처리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용융아연도금 제품을 생산합니다. 용융아연도금 제품은 내식성, 성형성, 용접성, 도장성 등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토목, 건축, 자동차 등 여러 산업 분야로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종류 및 용도
GI/GI(H)
GI는 냉연 원판, GI(H)는 열연 원판의 표면에서 이뤄지며, 용융 상태의 아연이 응고하는 동안 아연 결정의 성장을 억제해 미세한 결정립이 형성됩니다. 안정적인 도금 밀착이 가능하고 녹을 방지하는 성능, 경제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산업에 사용됩니다.
steelIndustry
종류 및 용도
GA/GA(H)
GA는 냉연 원판, GA(H)는 열연 원판의 표면에서 이뤄지며, 소재판과 아연이 열에 의해 확산되어 합금화된 도금층이 형성된 제품입니다. 철이 9~13% 존재하며 용접성이 우수해 주로 자동차에 사용됩니다.
steelIndustry
종류 및 용도
PosMAC
포스맥(PosMAC)은 POSCO Magnesium Aluminium alloy Coating Product를 의미하며, 포스코 고유 기술로 개발된 아연-마그네슘-알루미늄 3원계 고내식 합금도금강판입니다. 동일한 양의 도금을 부착한 일반 용융아연도금강판(GI, GI(H)) 대비 5~10배 우수한 내식성을 가지며 전단면 내식성도 우수합니다. 또한 내화학성, 평면부 및 가공부 내적청성 및 내산성, 내알칼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도금층 경도가 높고 마찰계수가 우수하여 Galling성 및 가공성 역시 뛰어납니다. 본 제품은 태양광 지지 구조물, 건축 내외장재, 에어컨 실외기, 자동차 부품 등 고내식성을 요구하는 용도에 사용됩니다.
steelIndustry
전기아연도금 제품은 전기화학 방식으로 생산된 아연도금 강판입니다. 도금 종류로는 Zn과 Zn-Ni 합금도금이 있습니다.

포스코 생산 전기아연도금 제품은 표면이 미려하고 도금 부착량 제어가 정밀합니다. 따라서 고객의 요구에 따라 내지문 처리, 인산염 처리 등 다양한 후처리가 가능합니다. 도장성, 내식성, 용접성, 가공성이 매우 우수하여 자동차와 가전기기 부분에 널리 사용됩니다.
종류 및 용도
Zn 전기도금강판
냉연 제품의 표면 위에 전기화학 방식으로 아연도금한 강판으로, 무처리, 인산염, 내지문 등 다양한 후처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가전, 자동차 외판, 건자재 용도로 사용됩니다.
steelIndustry
종류 및 용도
내지문강판
제품의 가공 및 사용 과정에서 지문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후처리한 제품입니다. 우수한 내부식성, 도장성, 가공성을 지닌 기능성 강판으로 영상가전, OA 기기, 음향기기, 컴퓨터 등에 쓰입니다.
steelIndustry
전기강판은 규소를 함유해 전자기적 성질을 가지는 강재로, 압연과 자기특성의 방향에 따라 방향성(GO)과 무방향성(NO)으로 구분됩니다. 방향성 전기강판(GO)은 강판 내부 결정이 압연 방향으로 정렬되어 자기적 성능을 비약적으로 높인 강판으로 주로 변압기 등 정지기 제품에 사용되며, 무방향성 전기강판(NO)은 내부의 결정 방향이 모든 방향으로 균일한 제품으로 전동기, 발전기 등 회전기 제품에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전기차 및 고급 가전용 모터의 에너지 손실을 줄여주는 고효율 무방향성 전기강판인 Hyper NO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종류 및 용도
방향성 전기강판
방향성 전기강판(GO,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은 결정의 자기화 방향과 압연 방향이 나란하게 만들어진 제품으로 우수한 자기 특성을 나타내며, 보증 철손 기준에 따라 Hyper GO, High GO 등으로 구분하는데 철손값 0.85W/kg 이하일 경우 Hyper GO, 1.05W/kg이하일 경우 High GO 제품이라고 합니다. 대형 변압기, 중소형 변압기, 배전용 변압기, 리액터(Reactor) 등에 사용됩니다.
steelIndustry
종류 및 용도
무방향성 전기강판
무방향성 전기강판(NO, Non-Oriented electrical steel)은 압연 방향과 기타 방향에 균일한 자기 특성을 나타내는 전기강판으로 보증 철손 기준에 따라 Hyper NO, High NO 등으로 구분하는데 철손값 3.5W/kg 이하일 경우 Hyper NO, 6.0W/kg이하일 경우 High NO 제품이라고 합니다. 대형 발전기부터 소형 정밀 전동기, 회전기기 철심 소재, 소형 변압기 철심 소재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steelIndustry
스테인리스 제품은 표면이 미려하고 잘 부식되지 않는 우수한 특수강으로, 별도의 처리없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철강재입니다.

포스코는 제강-열연-냉연 공정으로 이어지는 일관생산체제를 구축하여 연간 200만 톤의 스테인리스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스테인리스 제품은 합금성분 및 조직 특성에 따라 오스테나이트계, 페라이트계, 마르텐사이트계, 듀플렉스계로 나뉩니다. 주로 자동차 배기관, 주방용품, 전자제품, 건자재 등에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전기차 배터리 케이스, LNG 저장탱크 등 친환경 산업까지 사용 범위를 넓히며 각광받고 있습니다.
종류 및 용도
오스테나이트계(300계)
스테인리스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스테나이트(Austenite)계는 크롬과 니켈 성분을 포함하여 성형성, 용접성, 내식성이 우수합니다. 대표 강종은 304강이며, Mo, Ti, Cu 등 합금성분을 추가하여 316L, 321, 304J1 등 특수용도에 적합한 강종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주로 주방기기, 건축자재, 화학설비 등에 사용됩니다.
steelIndustry
종류 및 용도
페라이트계(400계)
페라이트(Ferrite)계는 주합금원소가 크롬으로 이루어져 열팽계수가 낮고 내식성이 우수합니다. 대표강종은 430이며, Ti, Nb, Mo 등 합금성분을 추가하여 409L, 430J1L, 444 등 특수용도에 사용되는 강종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주로 배기계 및 가전기기용으로 사용됩니다.
steelIndustry